목 차
Ⅰ. 물적․인적 투자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
1. 대학생 1인당 공교육비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 2. 대학생 1인당 누적 교육비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 3. 전체 교육단계 대비 고등교육비의 상대적 비중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 4. (%1 대비 고등교육비 구성비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3
5. 공공 및 민간 재원의 고등교육 투자 비중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4
6. 대학의 등록금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4
7. 고등교육기관의 공공 보조금 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5
8. 0&$% 국가 주요 대학의 학생 1인당 예산액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7 9. 고등교육기관의 교원 1인당 학생수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8 10. 대학 교원의 수업 시수 현황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9
Ⅱ. 교육 성과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9
1. 성인 인구의 교육 이수율 구성비 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9 2. 성인 인구의 고등교육 이수율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0 3. 고등교육 이수자 취업률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0 4. 학위 취득에 따른 임금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2 5. 교육 투자 수익률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3
Ⅲ. 국제화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4
1. 국내 외국인 유학생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4 2. 해외 유학 출국생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6 3. 국내 외국인 교원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8
TGiGT
Ⅳ. 국제 경쟁력과 사회 기여도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9
1. *.% 국가 경쟁력 평가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9 2. 8&' 국가 경쟁력 평가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3 3. 6/ 인간개발지수()%*) 평가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4 4. 5IF 5JNFT-24 세계 대학 평가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5 5. 연구 성과(4$* 논문 실적)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7 6. 고등교육의 학문적 연구 동향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32
TGiiGT
표 목 차
<표 Ⅰ-1> 0&$% 국가의 전체 교육단계 대비 고등교육비의 상대적 비중(2005)uuuuuuuuuuuuu2 <표 Ⅰ-2> 0&$% 국가의 대학 등록금(2004_2005) 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4 <표 Ⅰ-3> 0&$% 국가의 총교육비 대비 공공 보조금 비율(2005)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5 <표 Ⅰ-4> 0&$% 국가 주요 대학의 예산총액 및 학생 1인당 예산액(2005_2006)uuuuuuuuuuu7 <표 Ⅰ-5> 0&$% 국가의 교원 1인당 학생수(2004_2006)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8 <표 Ⅱ-1> 0&$% 국가의 상대적 임금 비교(1998, 2003, 2006)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2 <표 Ⅲ-1> 출신 국가별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외국인 유학생수 현황(2008)uuuuuuuuuuuuuuuuuuuu15 <표 Ⅲ-2> 국내 고등교육기관 외국인 교원 현황(2000_2008)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8 <표 Ⅳ-1> 주요 선진국 및 아시아권 국가의 *.% 경쟁력 순위(2009) uuuuuuuuuuuuuuuuuuuuuuuuuuuu19 <표 Ⅳ-2> 한국의 *.% 교육 경쟁력 강점 및 약점 지표(2009)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0 <표 Ⅳ-3> 한국의 *.% 교육 경쟁력 세부지표별 현황(2009)과 순위 변화 추이 uuuuuuuuuuu22 <표 Ⅳ-4> 세계 주요국의 8&' 국가 경쟁력 순위(2008)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3 <표 Ⅳ-5> 한국의 8&' 국가 경쟁력 순위 및 부문별 순위 변화(2008)uuuuuuuuuuuuuuuuuuuuuuuuuuu24 <표 Ⅳ-6> 8&' 국가 경쟁력 평가-교육 및 직업훈련 부문 순위(2008)uuuuuuuuuuuuuuuuuuuuuuuuuuuu24 <표 Ⅳ-7> 한국의 6/ 인간개발지수 평가 결과 추이(2000_2008)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4 <표 Ⅳ-8> 5IF 5JNFT-24 선정 세계 10대 대학 및 200위권내 국내 대학 순위(2008)uuuuuu25 <표 Ⅳ-9> 5IF 5JNFT-24 선정 아시아 10대 대학 및 200위권내 국내 대학 순위(2009)uuuuuuu26 <표 Ⅳ-10> 4$* 논문 발표수 상위 12개국의 논문수 순위 및 전년 대비 증가율(2007)uuuuuuuu28 <표 Ⅳ-11> 4$* 분석 결과, 국내 순위 20위 이내 대학의 세계 순위 변화(2007)uuuuuuuuuuuu29 <표 Ⅳ-12> 분야별 국내 4$* 논문 1편당 피인용지수 및 세계대비 비율(2007)uuuuuuuuuuuuuuu30
TGiiiGT
그 림 목 차
<그림 Ⅰ-1> 0&$% 국가의 대학생 1인당 공교육비(2005) 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 <그림 Ⅰ-2> 한국의 대학생 1인당 공교육비 추이(2000_2005)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 <그림 Ⅰ-3> 0&$% 국가의 대학생 1인당 누적 교육비(2005)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 <그림 Ⅰ-4> 0&$% 국가의 (%1 대비 고등교육비 구성비(2005) 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3 <그림 Ⅰ-5> 한국의 (%1 대비 고등교육비 구성비 추이(2000_2005)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3 <그림 Ⅰ-6> 0&$% 국가의 공공 및 민간 재원의 고등교육 투자의 상대적 비중(2005)uuuu4 <그림 Ⅰ-7> 0&$% 국가의 대학 등록금(2004_2005) 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5 <그림 Ⅰ-8> 한국 고등교육기관의 장학금/기타 교부금 비율 추이(2000_2005) uuuuuuuuuuuuuuuu6 <그림 Ⅰ-9> 한국 고등교육기관의 학자금 대출 비율 추이(2000_2005) 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6 <그림 Ⅰ-10> 0&$% 국가 주요 대학의 학생 1인당 예산액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7 <그림 Ⅰ-11> 0&$% 국가의 고등교육기관 교원 1인당 학생수(2006)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8 <그림 Ⅰ-12> 한국 대학 교원의 수업 시수 현황(2007)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9 <그림 Ⅱ-1> 한국의 성인 인구 교육 이수율 구성비(2006)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9 <그림 Ⅱ-2> 0&$% 국가의 연령별 고등교육 이수율(2006)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0 <그림 Ⅱ-3> 0&$% 국가의 고등교육 이수자 취업률(2006)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0 <그림 Ⅱ-4> 한국의 고등교육 이수자 취업률 추이(2000_2006)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1 <그림 Ⅱ-5> 한국의 고등교육 남자 이수자 취업률 추이(2000_2006)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1 <그림 Ⅱ-6> 한국의 고등교육 여자 이수자 취업률 추이(2000_2006)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2 <그림 Ⅱ-7> 한국의 학위 취득자 임금 비교(1998, 2003)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3 <그림 Ⅱ-8> 0&$% 국가의 개인 내적 수익률(2004)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3 <그림 Ⅲ-1> 한국 고등교육기관의 외국인 유학생수 추이(2003_2008)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4 <그림 Ⅲ-2> 0&$% 국가 고등교육기관의 외국인 학생수 비율과 변화 지수(2000, 2006)uuuuuu14 <그림 Ⅲ-3> 출신 국가별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외국인 유학생수 현황(2008)uuuuuuuuuuuuuuuuuuu15 <그림 Ⅲ-4> 해외 유학 출국생수 변화 추이(2001_2008)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6 <그림 Ⅲ-5> 지역별 과정별 해외 유학 출국생수(2008)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6 <그림 Ⅲ-6> 과정별 해외 유학 출국생수 구성비(2008)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7 <그림 Ⅲ-7> 주요 국가별 해외 유학 출국생수 구성비(2008)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17 <그림 Ⅲ-8>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전임교수 대비 외국인 교원 비율 추이(2000_2008)uuu18 <그림 Ⅳ-1> 한국의 *.% 국가 경쟁력 및 교육 경쟁력 전체 순위 변화(2006_2009)uuuuuuu19
TGivGT
<그림 Ⅳ-2> 한국의 *.% 교육 경쟁력 지형도(2009) 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0 <그림 Ⅳ-3> 한국의 대학교육에 대한 점수와 순위의 변화 추이(2004_2009)uuuuuuuuuuuuuuuuuuuu21 <그림 Ⅳ-4> 한국의 기업과 대학간 지식이전 충분 정도에 대한 점수와 순위 변화 추이(2004_2009) uuuuu21 <그림 Ⅳ-5> 한국의 8&' 국가 경쟁력 순위 추이(2000_2008)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3 <그림 Ⅳ-6> 한국의 )%* 지수와 평가 순위 변화 추이(2000_2008)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5 <그림 Ⅳ-7> 한국의 4$* 논문수 및 세계 순위 변화 추이(1998_2007)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7 <그림 Ⅳ-8> 한국의 분야별 4$* 논문수(2007)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7 <그림 Ⅳ-9> 4$* 분석 결과, 국내 상위 5개 대학의 논문수(2007)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8 <그림 Ⅳ-10> 최근 5년간 4$* 논문 300편 이상 발표 국내 대학수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29 <그림 Ⅳ-11> 분야별 국내 4$* 논문 1편당 피인용지수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31 <그림 Ⅳ-12> 분야별 국내 4$* 논문 1편당 세계대비 피인용비율(2007)uuuuuuuuuuuuuuuuuuuuuuuuuuuu31 <그림 Ⅳ-13> 고등교육 내용 영역별 논문수(국제학술지)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32 <그림 Ⅳ-14> 고등교육 내용 영역별 논문수 구성비(국제학술지)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32 <그림 Ⅳ-15> 고등교육 내용 영역별 논문수(국내학술지)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33 <그림 Ⅳ-16> 고등교육 내용 영역별 논문수 구성비(국내학술지)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u33
TGvGT
Ⅰ. 물적․인적 투자
G
1. 대학생 1인당 공교육비1) G○GYWW_년G한국의G대학생O고등교육기관PGX인당G공교육비는GvljkG국가G평균G대비G]]UXLG정도 이며SGYWWW년G이후로GvljkG국가의G평균G추이와G비슷한G양상으로G조금씩G증가하고G있는G추세임U
(단위 : 64%-111환산)
$ 25,000
20,000
15,000
24,370
10,000
5,000
0
OECD평균한국미국일본프랑스독일
[그림 Ⅰ-1] OECD 국가의 대학생 1인당 공교육비(2005) ※자료: 0&$%(2008). &EVDBUJPO BU B (MBODF 0&$% *OEJDBUPST. Q.218을 참고하여 재구성
(단위 : 64%-111환산)
[그림 Ⅰ-2] 한국의 대학생 1인당 공교육비 추이(2000~2005) ※자료: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2008). 국제지표로 본 한국교육. Q.24를 참고하여 재구성
XPG이하 0&$% 지표의 교육비는 공교육비를 의미함.
TGXGT
2. 대학생 1인당 누적 교육비
○G대부분의G선진국에서는G고등교육G평균G재학기간G동안G학생GX인당G누적G교육비가G높은G 수준으로G유지되고G있으며SG이것은G한국의G학생GX인당G누적G교육비G보다G월등히G높음UG
(단위 : 64%-111환산)
$ 70,000 60,000 50,000 40,000 30,000 20,000 10,000 0
66,75847,15950,16744,202
OECD평균한국일본프랑스독일
[그림 Ⅰ-3] OECD 국가의 대학생 1인당 누적 교육비(2005) ※자료: 0&$%(2008). &EVDBUJPO BU B (MBODF 0&$% *OEJDBUPST. Q.222를 참고하여 재구성
3. 전체 교육단계 대비 고등교육비의 상대적 비중
○G한국의G교육단계G대비G고등교육G비용은G상대적G비중GZZU\L로GvljkG평균인GY[UYL에G비해G 높은G편이지만SG미국SG일본에G비해G고등교육G학생수G비율이G높음에도G불구하고G교육비G비중은G낮음U G
<표 Ⅰ-1> OECD 국가의 전체 교육단계 대비 고등교육비의 상대적 비중(2005)
(단위: %)구분A:교육비 비율B:학20생05수 비율A/B 한국33.527.81.2 0&$%평균24.216.01.5 미국 37.118.92.0 일본27.118.81.4 프랑스21.915.01.5 독일21.413.31.6
※주: 1.국․공립학교만 포함
※자료: 0&$%(2008). &EVDBUJPO BU B (MBODF 0&$% *OEJDBUPST. Q.220을 참고하여 재작성TGYGT
4. (%1 대비 고등교육비 구성비
○G한국은GvljkG국가들에G비해GnkwG대비G고등교육비는G높은G편이나G민간G부담O민간G재원PG 비중에G비해G정부G부담O공공G재원PG비중이GvljkG국가G평균에G비해G현저히G낮음U
(단위: %)
% 3.0
민간부담
2.5
2.0
정부부담
1.5
1.0
0.5
0.0
OECD평균한국미국일본프랑스독일
[그림 Ⅰ-4] OECD 국가의 GDP 대비 고등교육비 구성비(2005) ※자료: 0&$%(2008). &EVDBUJPO BU B (MBODF 0&$% *OEJDBUPST. Q.240을 참고하여 재구성
(단위: %)
[그림 Ⅰ-5] 한국의 GDP 대비 고등교육비 구성비 추이(2000~2005) ※자료: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2008). 국제지표로 본 한국교육. Q.20을 참고하여 재구성
TGZGT
5. 공공 및 민간 재원의 고등교육 투자 비중
○G한국은G고등교육에G대한G투자G비중이G공공G재원OY[UZLP보다G민간G재원O^\U^LP이G더G높지만SG vljkG국가G평균을G보면G공공G재원O^ZUXLP이G민간G재원OY]U`LP보다G훨씬G많은G비중을G차지함U ○G한국의G고등교육에G대한G공공G재원의G투자가GvljkG국가G평균에G크게G못G미치는G수준임UG
(단위: %)
[그림 Ⅰ-6] OECD 국가의 공공 및 민간 재원의 고등교육 투자의 상대적 비중(2005) ※자료: 0&$%(2008). &EVDBUJPO BU B (MBODF 0&$% *OEJDBUPST. Q.253을 참고하여 재구성
6. 대학의 등록금
○GvljkG국가의G국․공립G및G사립학교G등록금은G다양한G양상을G보이고G있으며SG우리나라의G경우SG 국․공립학교G등록금은G일본과G유사한G데G비해G사립학교의G등록금은G일본에G비해GYWL이상G높은G편임U G
<표 Ⅰ-2> OECD 국가의 대학 등록금(2004~2005)
비고전일제 등록 학생 비율(%)대학(에단위 부:과 U된SD- P연PP간환 산수)업료
국․공립학교사립학교국․공립학교사립학교한국22.078.03,8837,406미국68.531.55,02718,604일본25.075.03,9206,117프랑스87.013.0160_490N독일98.02.0NN※주: 1.학생이 받은 장학금, 연구비 등은 고려하지 않음.
2.대학은 형(대학교, 일반대학원/대학원대학 석사학위과정, 전문대학원 박사학위과정) 고등교육기관임. 3.N은 자료가 해당국가에서 수집되지 않았거나 무응답 때문에 입수 불가능함을 의미함.※자료: 0&$%(2008). &EVDBUJPO BU B (MBODF 0&$% *OEJDBUPST. Q.279를 참고하여 재구성TG[GT
(단위 : 64%-111환산)
20,0$00 18,000 16,000 14,000 12,000 10,000 8,000 6,000 4,000 2,000 0
18,064
73,,848036 5,027 6,117 3,920 160~490
한국미국일본프랑스국∙공립학교사립학교
[그림 Ⅰ-7] OECD국가의 대학 등록금(2004~2005) ※자료aG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OYWW_PUG국제지표로 본 한국교육.GpUY^을G참고하여G재구성GG
7. 고등교육기관의 공공 보조금
○G우리나라의G고등교육기관에G대한G공공G보조금은GvljkG국가G평균OX^UZLP에G비해G훨씬G 낮은G수준OYU^LP이며SGnkwG대비G민간G부분에G대한G공공G보조금도GvljkG국가G평균OWUY\LP에G절반G수준임OWUWYLPU
<표 Ⅰ-3> OECD 국가의 총교육비 대비 공공 보조금 비율(2005)
(단위: %)
비고장학교금부/금기학타생 /가계학에자 대금한 대 공출공 보조금합계GDP대 한대 비사공 립민공학 간보교 부조금문에 한국1.41.22.70.02
0&$% 평균10.47.817.30.25미국14.98.623.50.31일본0.720.921.50.13프랑스7.9B7.90.09독일14.15.119.10.22※주: 1.B는 이 항목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자료가 해당되지 않음을 의미함.
※자료: 0&$%(2008). &EVDBUJPO BU B (MBODF 0&$% *OEJDBUPST. Q.290을 참고하여 재구성TG\GT
(단위: %)
[그림 Ⅰ-8] 한국 고등교육기관의 장학금/기타 교부금 비율 추이(2000~2005) ※자료aG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OYWW_PUG국제지표로 본 한국교육.GpUZX을G참고하여G재구성GG
(단위: %)
[그림 Ⅰ-9] 한국 고등교육기관의 학자금 대출 비율 추이(2000~2005) ※자료aG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OYWW_PUG국제지표로 본 한국교육.GpUZW을G참고하여G재구성GG
TG]GT
8. 0&$% 국가 주요 대학의 학생 1인당 예산액
○G서울대의G학생GX인당G예산액은GZSZW^만원으로SG세계G주요G대학의G학생GX인당G예산액에G 비해G낮은G수준임U
<표 Ⅰ-4> OECD 국가 주요 대학의 예산 총액 및 학생 1인당 예산액(2005~2006)
서울대하버드대예일대위스콘신대도쿄대싱가포르대예산 총액(8억,6원60)(백2,8만00$)(백1,만97 1$)(백2,만11 8$)(백18만6,5 2¥8)(백만1,1 548(%) 한(억화 환원산)8,666 28,000 19,710 21,180 18,652 10,444 학+생대수학(학원생부)생26,202 19,600 10,700 38,253 27,954 32,544 1인당(만 원예산)액3,307 14,286 18,421 5,537 6,672 3,209
※주: 1.환율 64 1$=1,000₩, +1/ 100¥=1,000₩, 4(%=900₩.
2.회계연도 서울대학교 2006년, 그 외 대학 2005, 2006. 3.1인당 예산액=한화환산 예산 총액/학생 수(학부생+대학원생)※자료: 서울대학교 법인화위원회(2009). 서울대학교 법인화 방안 연구보고서. Q.48.(단위: 만원)
[그림 Ⅰ-10] OECD 국가 주요 대학의 학생 1인당 예산액
TG^GT
9. 고등교육기관의 교원 1인당 학생수
○G한국의G고등교육기관의G교원GX인당G학생G수는GYWW]년G기준GY\UW명으로GvljkG국가의G 평균인GX\UZ명보다G많음UG
<표 Ⅰ-5> OECD 국가의 교원 1인당 학생수(2004~2006)
(단위: 명)
200420052006
구분초등고등고등초등고등고등초등고등고등교육학교교육교육학교교육교육학교교육한국29.115.925.228.016.025.826.718.225.0 0&$% 국가평균16.912.715.516.713.015.816.213.215.3 미국15.016.015.814.916.015.714.621.915.1 일본19.613.211.019.413.011.019.213.710.8 프랑스19.410.317.819.410.317.319.311.917.0 독일18.813.912.718.814.012.218.715.112.4※자료: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07). 2007 대학교육 현황 분석 자료집. Q.77.; 한국교육개발원(2008). 교육정책 분야별 통계 자료집. Q.289; 0&$%(2008). &EVDBUJPO BU B (MBODF 0&$% *OEJDBUPST. Q.437을 참고하여 재구성
(단위: 명)
명25
20
15
25.0
10
5
0
OECD평균한국미국일본프랑스독일
[그림 Ⅰ-11] OECD 국가의 고등교육기관 교원 1인당 학생수(2006)
※자료: 한국교육개발원(2008). 교육정책 분야별 통계 자료집. Q.289;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2008). 0&$% 교육지표. Q.437을 참고하여 재구성TG_GT
10. 대학 교원의 수업 시수 현황
○G우리나라G대학O일반G대학PG교원의G주당G수업G시수G현황을G보면SG주당GXW~X\시간의G비율이G 가장G높게G나타남U
16시간이상
10.0
10~15시간
(단위: %)
37.5 28.3
6~9시간
1~5시간
0시간
0.0
[그림 Ⅰ-12] 한국 대학 교원의 수업 시수 현황(2007) ※자료: 박인우(2007). 대학 교원 현황 분석. Q.47을 참고로 재구성
Ⅱ. 교육 성과
1. 성인 인구의 교육 이수율 구성비
○G한국의G성인G인구OY\세T][세P의G교육G이수율G구성비는G고등학교G[ZUWLSG고등교육G ZYUWL로G성인GG인구의G^\UWL가G고등학교G이상의G교육을G이수하였음U
[그림 Ⅱ-1] 한국의 성인 인구 교육 이수율 구성비(2006)
※주: 1.고등교육(형): 대학교, 일반대학원/대학원대학 석사학위과정, 전문대학원 박사학위과정 2.고등교육(#형): 전문대학, 교육대학, 각종학교, 산업대학, 기술대학, 전문/특수대학원 석사학위과정※자료: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2008). 국제지표로 본 한국교육. Q.59.TG`GT
2. 성인 인구의 고등교육 이수율
○G한국의G성인G인구OY\세T][세P의G고등교육G이수G인구G비율은GZZL로GvljkG국가의G평균인G Y^L보다G높음U
○G한국과G일본의G경우SGY\~Z[세G고등교육G이수G비율과G\\~][세G고등교육G이수G비율을G 보면G급속하게G고등교육이G확대되었음U(단위: %)
[그림 Ⅱ-2] OECD 국가의 연령별 고등교육 이수율(2006)
※자료: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2008). 국제지표로 본 한국교육. Q.60을 참고하여 재구성3. 고등교육 이수자 취업률
○G한국의G고등교육G이수자의G취업률은G^^UYL로GvljkG국가의G평균인G_[U[L에G미치지G못하고G있으나SGYWWW년G이후로G계속G소폭의G증가를G보이고G있음U
(단위: %)
% 86
84
82
80
84.4 84.3 82.7 83.0
78
76
74
72
OECD평균한국미국일본프랑스독일
[그림 Ⅱ-3] OECD 국가의 고등교육 이수자 취업률(2006) ※주: 1.25_64세 취업자 수 ※자료: 0&$%(2008). &EVDBUJPO BU B (MBODF 0&$% *OEJDBUPST. Q.155를 참고하여 재구성
TGXWGT
(단위: %)
[그림 Ⅱ-4] 한국의 고등교육 이수자 취업률 추이(2000~2006)
※자료aG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OYWW_PUG국제지표로 본 한국교육UGpU_W을G참고로G재구성GGG○G한국의G고등교육G남자G이수자의G취업률은GvljkG국가G평균과G유사하지만SG여자G이수자의G 취업률의G경우GvljkG국가G평균의G약G^\UWLG수준밖에G되지G않음UG
(단위: %)
[그림 Ⅱ-5] 한국의 고등교육 남자 이수자 취업률 추이(2000~2006)
※자료aG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OYWW_PUG국제지표로 본 한국교육UGpU_Y를G참고하여G재구성TGXXGT
(단위: %)
[그림 Ⅱ-6] 한국의 고등교육 여자 이수자 취업률 추이(2000~2006)
※자료aG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OYWW_PUG국제지표로 본 한국교육UGpU_Y를G참고하여G재구성GG G4. 학위 취득에 따른 임금
○G후기G중등교육에G대한G수익률이GXWW이라고G하면G한국의G고등교육G학위G취득에G따른G상대적G 임금은GX[XOYWWZ년P로G다른GvljkG국가에G비해G약간G낮은G수준임U
○G우리나라의G고등교육G이수자와G초등교육G이수자의G상대적G임금G차이는G매우G큰G것으로G나타남U<표 Ⅱ-1> OECD 국가의 상대적 임금 비교(1998,2003,2006)
구분199820032006
한국후기고중등등교교육육미만1738516471NN미국후기고중등등교교육육미만167731676216766프랑스후기중고등등교교육육미만185401844618459독일후기고중등등교교육육미만173801857319604※주: 1.25-64세 인구, 후기 중등교육=100
2.N은 자료가 해당국가에서 수집되지 않았거나 무응답 때문에 입수 불가능함을 의미함.※자료: 한국대학교육협의회(2007), 2007 대학교육 현황 분석 자료집. Q.100.; 0&$%(2008). &EVDBUJPO BU B (MBODF 0&$% *OEJDBUPST. Q.173을 참고하여 재구성TGXYGT
○G고등교육G학위G취득자의G상대적G임금은GX``_년에G비해G조금G증가하였으나SG고등교육을G이수한G 남자의G상대적G임금은G낮아진G반면SG고등교육을G이수한G여자의G상대적G임금은G급격히G높아짐UG
[그림 Ⅱ-7] 한국의 학위 취득자 임금 비교(1998, 2003) ※자료aG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OYWW_PUG국제지표로 본 한국교육UGpU_[UGGG
5. 교육 투자 수익률
○G교육을G통한G보상은G내적G수익률OpnternalGyateGofGyeturnbGpyyP에G의해G측정됨U
○G한국의G내적G수익률OpyyaG개개인의G교육G투자O교육을G받기G위해G소비한G시간과G돈P로G올릴G 수G있는G예상G이율P은G여자의G경우SG고등학교O후기G중등교육PG졸업과G대학O고등교육PG졸업간의G수익률G차이가G다른GvljkG국가에G비해G두드러짐UG
(단위: %)
[그림 Ⅱ-8] OECD 국가의 개인 내적 수익률(2004)
※자료aG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OYWW_PUG국제지표로 본 한국교육UGpU_]을G참고로G재구성TGXZGT
Ⅲ. 국제화
1. 국내 외국인 유학생
○G국내G외국인G유학생은G지속적인G증가G추세SGYWW_년도G[WS\_\명으로G전년G대비G약G _SWWW명G증가함U
○G우리나라G고등교육기관의G경우SG외국인G학생G비율은G낮지만SGYWWW년G대비G]U]배G증가해G vljkG국가G중G가장G급격한G변화를G보임U(단위: 명)
[그림 Ⅲ-1] 한국 고등교육기관의 외국인 유학생수 추이(2003~2008) ※주: 1.고등교육기관은 전문대학, 일반대학, 대학원 등이 포함되며, 어학연수와 기타 연수는 제외됨. ※자료: IUUQ://FEQPMJDZ.LFEJ.SF.LS/&E*OGP/&EQPMJDZ/&EQ4UBU7JX.QIQ -TU/VN1=1690을 참고로 재구성
[그림 Ⅲ-2] OECD 국가 고등교육기관의 외국인 학생수 비율과 변화 지수(2000, 2006) ※주aGXU변화지수는GYWWW년을G기준OXWWP으로G증가한G학생수G비율임U
※자료aG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OYWW_PUG국제지표로 본 한국교육UGpU[_UGTGX[GT
○G국내G외국인G유학생을G출신G국가별로G보면G중국O^YUWLP이G가장G많이G차지하고G있음U
<표 Ⅲ-1> 출신 국가별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외국인 유학생수 현황(2008)
(단위: 명)
구분고등교육기관대학총계40,58521,114 중국29,21017,037 베트남1,441280 일본1,237354 몽골1,034632 대만893753 기타6,7702,058
※주: 1.고등교육기관은 전문대학, 일반대학, 대학원 등이 포함되며, 어학연수와 기타 연수는 제외됨. ※자료: IUUQ://FEQPMJDZ.LFEJ.SF.LS/&E*OGP/&EQPMJDZ/&EQ4UBU7JX.QIQ -TU/VN1=1694
[그림 Ⅲ-3] 출신 국가별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외국인 유학생수 현황(2008) ※자료: IUUQ://FEQPMJDZ.LFEJ.SF.LS/&E*OGP/&EQPMJDZ/&EQ4UBU7JX.QIQ -TU/VN1=1694를 참고로 재구성
TGX\GT
2. 해외 유학 출국생
○G해외G유학G출국생은GYWWX년G이후G대체로G지속적인G증가를G보이고G있으며SG해외G유학G출국생의G\[U\L는G어학G연수임UG
○G주요G유학G국가는G미국GY_U_LSG캐나다GY]U\LSG중국G_UWL임U(단위: 명)
[그림 Ⅲ-4] 해외 유학 출국생수 변화 추이(2001~2008)
※자료: IUUQ://FEQPMJDZ.LFEJ.SF.LS/&E*OGP/&EQPMJDZ/&EQ4UBU7JX.QIQ -TU/VN1=1695를 참고로 재구성(단위: 명)
[그림 Ⅲ-5] 지역별 과정별 해외 유학 출국생수(2008)
※주: 1.중동, 중남미, 아프리카는 전체 유학생수(대학, 대학원, 어학 연수)로 표기함.※자료: IUUQ://FEQPMJDZ.LFEJ.SF.LS/&E*OGP/&EQPMJDZ/&EQ4UBU7JX.QIQ -TU/VN1=1696을 참고로 재구성TGX]GT
(단위: 명)
[그림 Ⅲ-6] 과정별 해외 유학 출국생수 구성비(2008)
※자료: IUUQ://FEQPMJDZ.LFEJ.SF.LS/&E*OGP/&EQPMJDZ/&EQ4UBU7JX.QIQ -TU/VN1=1696을 참고로 재구성(단위: 명)
[그림 Ⅲ-7] 주요 국가별 해외 유학 출국생수 구성비(2008) ※자료: IUUQ://FEQPMJDZ.LFEJ.SF.LS/&E*OGP/&EQPMJDZ/&EQ4UBU7JX.QIQ -TU/VN1=1698
TGX^GT
3. 국내 외국인 교원
○GYWW_년G대학G외국인G교원은G총GYS\Y`명으로GYWWW년G`_\명에G비해GYU]배G증가함U
○GYWW_년G대학G외국인G교원은G가장G많으나SG전임G교원G대비G외국인G교원G비율은G오히려G 전문대학이G약간G높음U<표 Ⅲ-2>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외국인 교원 현황(2000~2008)
(단위: 명)
구분전임외 대국학인비율전임전외문국대인학비율200041,7889852.411,5552412.1 200143,1471,0732.511,7392502.1 200244,0181,0282.312,0052662.2 200345,1061,0432.311,8222542.2 200446,8371,2872.711,7202522.2 200549,0341,5973.3 11,8743202.7 200651,6961,9313.7 11,7123863.3 200752,5922,2124.2 11,5434564.0 200854,1622,5294.711,9585985.0
※주: 1.외국인 전임교원 비율 = 외국인 전임교원수/총 전임교원수×100
※자료: IUUQ://FEQPMJDZ.LFEJ.SF.LS/&E*OGP/&EQPMJDZ/&EQ4UBU7JX.QIQ -TU/VN1=1746
[그림 Ⅲ-8] 국내 고등교육기관의 전임교수 대비 외국인 교원 비율 추이(2000~2008) ※자료: IUUQ://FEQPMJDZ.LFEJ.SF.LS/&E*OGP/&EQPMJDZ/&EQ4UBU7JX.QIQ -TU/VN1=1746을 참고로 재구성
TGX_GT
Ⅳ. 국제 경쟁력과 사회 기여도
1. *.% 국가 경쟁력 평가
○GptkG국가G경쟁력G개념aGptk는G국가G경쟁력의G핵심을G기업G경쟁력으로G보고G국가의G제반G 제도나G환경이G기업G경쟁력에G유리할수록G국가G경쟁력이G높아진다고G가정함U
○GptkG국가G경쟁력G평가에서G미국이GX위를G유지하였고SG홍콩과G싱가포르가GYㆍZ위G기록하였으며SG우리나라는G전년OZX위P에G비해G[계단G상승한GY^위G기록함U<표 Ⅳ-1> 주요 선진국 및 아시아권 국가의 IMD 경쟁력 순위(2009)
(단위: 위) 영국
21(21)한국미국홍콩싱가포르덴마크핀란드독일27(31)1(1)2(3)3(2)5(6)8(8)13(16) 프랑스일본말레이시아중국홍콩대만태국28(31)17(22)18(19)20(17)2(3)23(13)26(27)
인도 30(29)
※주: 1.( )는 전년도 순위
※자료: IUUQ://XXX.XPSMEDPNQFUJUJWFOFTT.DPN/POMJOF○G우리나라는GptkG국가G경쟁력G평가의G교육G부문에서GZ]위를G차지함UG
○G강점aGY\TZ[세G인구G고등교육G이수율SG중등학교G취학률G등이G강점으로G작용○G약점aG초등학교G교사GX인당G학생수SG중․고교G교사GX인당G학생수SG대학교육의G사회부합도SG 자격을G갖춘G엔지니어의G시장G공급G정도는G약점으로G작용(단위: 위)
[그림 Ⅳ-1] 한국의 IMD 국가 경쟁력 및 교육 경쟁력 전체 순위 변화(2006~2009)
※자료: IUUQ://XXX.XPSMEDPNQFUJUJWFOFTT.DPN/POMJOF; 박종효․나원희․김송희(2008). 2008 *.% 교육경쟁력 분석 보고서. Q.21을 참고로 재구성TGX`GT
<표 Ⅳ-2> 한국의 IMD 교육 경쟁력 강점 및 약점 지표(2009)
(단위: 위)
구분강 점순위구분약 점순위 고등교육 이수율4 초등교사 1인당 학생수51 중등학교 취학률6 대학교육의 사회부합도(설문)51 교육--교육 자격을 갖수춘준 엔(설지문니)어의 공급 50 -- 중고교 교사 1인당 학생수50
※자료: IUUQ://XXX.XPSMEDPNQFUJUJWFOFTT.DPN/POMJOF
(단위: 위)
[그림 Ⅳ-2] 한국의 IMD 교육 경쟁력 지형도(2009)
※자료: IUUQ://XXX.XPSMEDPNQFUJUJWFOFTT.DPN/POMJOF을 참고로 재구성
○G대학교육이G경쟁사회의G요구에G어느G정도G부합하는가에G대한G국내G기업인들의G설문G조사G 결과SG한국은GZU`\점으로G\^개국G중G\X위를G차지해G대학교육의G경쟁력이G매우G낮은G것으로G 평가되었으며SGYWW_년G보다GY계단G상승하였음U
○G대학교육의G사회부합도에G관한G의견G조사G결과G추이를G보면SGYWW[년G[`위에서GYWW^년G Z`위로G계속G상승하는G추세였으나GYWW_년G\Z위로G최근G\년G동안G가장G낮은G수준을G기록하였음UTGYWGT
[그림 Ⅳ-3] 한국의 대학교육에 대한 점수와 순위의 변화 추이(2004~2009)
※자료: IUUQ://XXX.XPSMEDPNQFUJUJWFOFTT.DPN/POMJOF; 박종효․나원희․김송희(2008). 2008 *.% 교육경쟁력 분석 보고서. Q36을 참고로 재구성○G기업과G대학간G지식이전G충분G정도에G대한G국내G기업인들의G설문G조사G결과SG한국은G[UY\점으로G\^개국G중GZZ위를G차지해G중간G정도로G평가되었으며SGYWW_년G보다G`계단G상승하였음U ○G기업과G대학간G지식이전G충분G정도에G의견G조사G결과G추이를G보면SGYWW[년GZ[위SGYWW\년G X`위SGYWW]년GY_위SGYWW^년GYW위를G차지하였으나GYWW_년G[X위로G최근G\년G동안G가장G낮은G
수준을G기록하였음U
[그림 Ⅳ-4] 한국의 기업과 대학간 지식이전 충분 정도에 대한 점수와 순위의 변화 추이(2004~2009)]
※자료: IUUQ://XXX.XPSMEDPNQFUJUJWFOFTT.DPN/POMJOF; 박종효․나원희․김송희(2008). 2008 *.% 교육경쟁력 분석 보고서. Q42를 참고로 재구성TGYXGT
<표 Ⅳ-3> 한국의 IMD 교육 경쟁력 세부지표별 현황(2009)과 순위 변화 추이
항 목지표2순007위년년도지표2순008위년년도지표2순00위9년년도상하승락 (%1대비 교육 관련 공공지출 (%)4.434054.431054.223607↓5 1인당 교육관련 공공지출**7262605726260585330.-07- 초등학교 교사 1인당 학생수(명)29.1520428.0500526.705106↓1 중고교 교사 1인당 학생수(명) 17.9440418.2460518.045006↓4 중등학교 취학률(%)88.28280490.40220596.05606↑16 25-34세 인구 고등교육 이수율(%)49.0040451.0040553.00406- 1*4 성적(’00) : 수학, 과학(점)**5543283404552427410006---- 15세 이상 문맹률(%)2.0031032.0031042.003207↓1 인구 천 명당 고등교육 외국인 학생수---0.3236050.463706↓1 인구 천 명당 고등교육 유학생수**---2.0211052.11-06- 영어숙달도(토플성적)**---20108.420677.004807↓6 (경쟁사회의 요교구육에제 도부 합하는 정도)*4.2231073.6839084.383209↑7 (경쟁사회의 요대구학에교 육부합하는 정도)*4.4639073.3953083.955109↑2 (산업계 요 구경에영 교부육합하는 정도)*---4.7738084.524209↓4 시민의 경제지식 수준6.5711075.761908---- (기업의 요 구경에제 교부육합하는 정도)*5.4727074.813708---- (기업의 요 구언에어 능부력합하는 정도)*3.9343074.7535084.883409↑1 자격을 갖춘 엔지니어의 시장 공급 정도*6.8312074.5341084.735009↓9 기업과 대학간 지식이전 충분 정도*5.3720073.7241084.253309↑8 종합 순위/ 평가 대상 국가 수29 / 5535 / 55 36/57↓1
※주: 1.* 표시는 설문지표임. 2.** 표시는 순위산출에 활용되지 않고, 해당 국가의 배경 정보 확인용임.
※자료: IUUQ://XXX.XPSMEDPNQFUJUJWFOFTT.DPN/POMJOF; 박종효․나원희․김송희(2008). 2008 *.% 교육경쟁력 분석 보고서. Q25를 참고로 재구성TGYYGT
2. 8&' 국가 경쟁력 평가
○G~lmO~orldGlconomicGmorumP는G국가G경쟁력을G‘지속적G경제G성장과G장기적인G번영을G 가능케G하는G정책·제도G및G제반G요소’로G정의함U
○GYWW_년G평가는GXZ[개국을G대상으로GnlobalGjompetitivenessGpndexG체계G하에G기본요인SG 효율성G증진SG기업G혁신G및G성숙도G등GZ대G부문SGXY개G세부부문SGXXW개G항목O통계GZZ개SG설문G ^^개P에G대해G평가함U○G한국G세계GXZ위SG아시아G국가G中에서는G싱가포르와G일본이G각각G\위SG`위로G우리나라보다G 높은G순위를G차지함U○G‘고등교육G및G훈련’G부문은G]위에서GXY위로G]계단G하락하였으며SG고등교육G취학률SG학교에서의G 인터넷G접근도G등은G강점G요인으로SG증등학교G취학률SG경영대학원의G질G등은G약점으로G드러남U<표 Ⅳ-4> 세계 주요국의 WEF 국가 경쟁력 순위(2008)
(단위: 위)
미국스위스덴마크스웨덴싱가폴핀란드독일네덜란드일본캐나다 1(1)2(2)3(3)4(4)5(7)6(6)7(5)8(10)9(8)10(13)
※주: 1.( )안은 전년도 순위
※자료: 기획재정부(2008). 2008년 8&'의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보도자료(2008.10.08).(단위: 위)
[그림 Ⅳ-5] 한국의 WEF 국가 경쟁력 순위 추이(2000~2008) ※자료: 기획재정부(2008). 2008년 8&'의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보도자료(2008.10.08)를 참고로 재구성
TGYZGT
<표 Ⅳ-5> 한국의 WEF 국가 경쟁력 순위 및 부문별 순위 변화(2008)
(단위: 위)
전기본요인(14→16위)효율성 증진(12위→15위)기업(혁7위신→ 및10 위성)숙도
순체위제요도인적 인프라거경제시보교초및육등건 훈고교및등육련 효시상율장품성 효노시율장동성 성시금숙장융도 수기과술학준 규시모장 성활기숙업동도 기혁업신2007112616827616242771198 2008132815426122241371313169※자료: 기획재정부(2008). 2008년 8&'의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보도자료(2008.10.08).
<표 Ⅳ-6> WEF 국가 경쟁력 평가-교육 및 직업훈련 부문 순위(2008)
구분강 점순위구분약 점순위교육 고등교육 취학률3교육 중등교육 취학률 35 및 학교에서의 인터넷 접근도5및 경영대학(원)의 질30 직업 직장훈련10직업 교육시스템의 질29 훈련수학․과학교육G수준11훈련 -
※자료: 기획재정부(2008). 2008년 8&'의 국가경쟁력 평가 결과. 보도자료(2008.10.08).
3. 6/ 인간개발지수()%*) 평가
○G유엔개발계획O|nitedGuationsGkevelopmentGwrogrammea|ukwP은GNYWW_년G인간개발보고서NG발표함OʼW_UXYUX_PU
○GYWW_년GokpG순위는GX^`개국G중GY\위로G지난해GY]위에서G한G계단G상승하였으며SGYWWZ년G 이후로G꾸준히G상승하고G있는G추세임U<표 Ⅳ-7> 한국의 UN 인간개발지수 평가 결과 추이(2000~2008)
구 분200020012002200320042005200620072008 순위(위)312727302828262625 기대수명(세)72.674.774.975.275.47777.377.978.2 성인문해율(%)97.597.697.897.997.997.998.0--총 취학률(%)90.090.090.091.092.092.095.096.098.5 1인당 (%1($)13,47815,71217,38015,09016,95017,97120,49922,02922.985 )%*0.8540.8750.8820.8790.8880.9010.9120.9210.928
※주: 1.1인당 (%1는 구매력 지수 기준.
2.성인 문해율은 “글자를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자의 비율”로서, 성인 문해율 %5가 존재하지 않는 국가(우리나라 포함)의 경우 99%를 적용하여 지수 산출. 3.총취학률은 초․중․고 및 대학교육 포함. 4.)%* 지수는 “0_1”의 값을 가지며 수치가 높을수록 인간개발 성취도가 높음.※자료: IUUQ://IESTUBUT.VOEQ.PSH/2008/DPVOUSJFT/DPVOUSZ@GBDU@TIFFUT/DUZ@GT@,03.IUNMTGY[GT
[그림 Ⅳ-6] 한국의 HDI 지수와 평가 순위 변화 추이(2000~2006)
※자료: IUUQ://IESTUBUT.VOEQ.PSH/2008/DPVOUSJFT/DPVOUSZ@GBDU@TIFFUT/DUZ@GT@,03.IUNM를 참고로 재구성4. 5IF 5JNFT-24 세계 대학 평가
○G영국의G{heG{imes지와Gxz사가GYWW[년부터G연구의G질SG졸업생G취업도SG국제화SG교육의G질G 등의G영역을G통해G대학G경쟁력을G평가하여G세계G대학G순위를G발표함U
<표 Ⅳ-8> The Times-QS 선정 세계 10대 대학 및 200위권내 국내 대학 순위(2008)
2순00위8년 20순0위7년 대학교국가
11)373% 6OJWFSTJUZ6OJUFE 4UBUFT22:-& 6OJWFSTJUZ6OJUFE 4UBUFT326OJWFSTJUZ PG $.#3*%(&6OJUFE ,JOHEPN426OJWFSTJUZ PG 09'03%6OJUFE ,JOHEPN57$-*'03/* *OTUJUVUF PG 5FDIOPMPHZ ($BMUFDI)6OJUFE 4UBUFT65*.1&3*- $PMMFHF -POEPO6OJUFE ,JOHEPN796$- (6OJWFSTJUZ $PMMFHF -POEPO)6OJUFE ,JOHEPN876OJWFSTJUZ PG $)*$(06OJUFE 4UBUFT910.44$)64&554 *OTUJUVUF PG 5FDIOPMPHZ (.*5)6OJUFE 4UBUFT1011$0-6.#* 6OJWFSTJUZ6OJUFE 4UBUFT50514&06- /BUJPOBM 6OJWFSTJUZ,PSFB, 4PVUI95132,*45 - ,PSFB EWBODFE *OTUJUVUF PG 4DJFODF,PSFB, 4PVUI18823310)/( 6OJWFSTJUZ PG 4DJFODF BOE 5FDIOPMPHZ,PSFB, 4PVUI※자료:IUUQ://XXX.UPQVOJWFSTJUJFT.DPN/VOJWFSTJUZ@SBOLJOHT/SFTVMUT/2008/PWFSBMM@SBOLJOHT/UPQ@100@VOJWFSTJUJFT/TGY\GT
<표 Ⅳ-9> The Times-QS 선정 아시아 10대 대학 및 200위권내 국내 대학 순위(2009)
순위대학명순위대학명
16OJWFSTJUZ PG )0/( ,0/(1074)UVE/JF,T6 , 6OJWFSTJUZ PG 'PSFJHO 25IF $)*/&4& 6OJWFSTJUZ PG )POH ,POH114$)6/(-/( 6OJWFSTJUZ 36OJWFSTJUZ PG 50,:0123,/(/6/( /BUJPOBM 6OJWFSTJUZ 4)BO0E/ 5(F D,IO0P/MP(HZ 6OJWFSTJUZ PG 4DJFODF 129,0/,6, 6OJWFSTJUZ 5,:050 6OJWFSTJUZ133(:&0/(4/( /BUJPOBM 6OJWFSTJUZ 604, 6OJWFSTJUZ134%0/((6, 6OJWFSTJUZ 74,DJF*O4D5F - ,PSFB EWBODFE *OTUJUVUF PG 135400/$)6/):/( 6OJWFSTJUZ 84&06- /BUJPOBM 6OJWFSTJUZ138%0/(- 6OJWFSTJUZ 950,:0 *OTUJUVUF PG 5FDIOPMPHZ139%/,00, 6OJWFSTJUZ 10/BUJPOBM 6OJWFSTJUZ PG 4JOHBQPSF (/64)1494&+0/( 6OJWFSTJUZ 101&,*/( 6OJWFSTJUZ1506OJWFSTJUZ PG 4&06- 1715F0D)IOP/MP(H Z6OJWFSTJUZ PG 4DJFODF BOE 151$)046/ 6OJWFSTJUZ 25:0/4&* 6OJWFSTJUZ151)//. 6OJWFSTJUZ 33,03& 6OJWFSTJUZ151$)&+6 /BUJPOBM 6OJWFSTJUZ 42&8) 80./4 6OJWFSTJUZ1614&0/. 6OJWFSTJUZ 4446/(,:6/,8/ 6OJWFSTJUZ1615,F6D.IO0P)MPH /Z BUJPOBM *OTUJUVUF PG 46)/:/( 6OJWFSTJUZ161/%0/( /BUJPOBM 6OJWFSTJUZ 57,:6/()&& 6OJWFSTJUZ171)0/(*, 6OJWFSTJUZ 58164/ /BUJPOBM 6OJWFSTJUZ17116,:0/( /BUJPOBM 6OJWFSTJUZ 6140(/( 6OJWFSTJUZ171/:/( 6OJWFSTJUZ 82,:6/(100, /BUJPOBM 6OJWFSTJUZ171.:0/(+* 6OJWFSTJUZ 88$)0//. /BUJPOBM 6OJWFSTJUZ181$)/(80/ /BUJPOBM 6OJWFSTJUZ 92*/) 6OJWFSTJUZ1811*$)* 6OJWFSTJUZ97$)0/#6, /BUJPOBM 6OJWFSTJUZ1814*-- 6OJWFSTJUZ 98+06 6OJWFSTJUZ 181,00,.*/ 6OJWFSTJUZ 99$)6/(/. /BUJPOBM 6OJWFSTJUZ191,&*.:6/( 6OJWFSTJUZ 1015IF $5)0-*$ 6OJWFSTJUZ PG ,PSFB 103)--:. 6OJWFSTJUZ 1046-4/ 6OJWFSTJUZ※자료:IUUQ://XXX.UPQVOJWFSTJUJFT.DPN/XPSMEVOJWFSTJUZSBOLJOHT/BTJBOVOJWFSTJUZSBOLJOHT/BTJBO@VOJWFSTJUZ@SBOLJO HT@UPQ@200@VOJWFSTJUJFT/
TGY]GT
5. 연구 성과(4$* 논문 실적)
○G교육과학기술부가G과학기술논문색인OzjpGaGzcienceGjitationGpndexPGuzpGki를G분석한G 결과SGYWW^년도G우리나라의GzjpG게재G논문수가GY\S[`[편으로GX_W개국G중G전년보다GX계단G상승한G XY위로G나타남U
○G우리나라의G학문G분야별GzjpG논문수는G임상의학G분야가G가장G많으며SG공학G및G컴퓨터SG 물리․화학․지구과학G분야가G그G뒤를G잇고G있음U
[그림 Ⅳ-7] 한국의 SCI 논문수 및 세계 순위 변화 추이(1998~2007)
※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7년 우리나라 4$* 논문수 세계 12위. 보도자료(2008.09.11)를 참고하여 재구성인문∙예술
사회과학
227
다학문분야
2,809
농업∙생물∙환경과학
16,720
임상의학
3,052
생명과학
9,5199,986
물리∙화학∙지구과학
공학및컴퓨터
2,0004,0006,0008,00010,00012,00014,00016,00018,000편
0
[그림 Ⅳ-8] 한국의 분야별 SCI 논문수(2007)
※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7년 우리나라 4$* 논문수 세계 12위. 보도자료(2008.09.11)를 참고하여 재작성TGY^GT
○GzjpG논문G발표수G세계G상위G\개국은G미국SG영국SG중국SG독일SG일본이며SG상위G\개국의G 논문수G합O\`]S\[[편P은G전세계G총G논문수OXSX^^S\Y_편PG중G절반이G넘는G비중O\WU]]LP을G 차지하고G있으며SG우리나라GzjpG논문이G전세계G총G논문수G중G차지하는G비중은GYUX^L임U
○G논문G발표수G상위GXY개국G중G대부분의G국가들이G순위G변동이G없는G가운데G중국O\→Z위SG X[UZ[LP과G우리나라OXZ→XY위SG`U[ZLP가G높은G논문수G증가율과G함께G순위가G상승한G것으로G나타남UG○G한편SG우리나라는G논문수는G많은G편이나SG피인용수는G논문GX편당G평균G피인용G횟수GXU`\로G ZW위를G기록함U<표 Ⅳ-10> SCI 논문 발표수 상위 12개국의 논문수 순위 및 전년 대비 증가율(2007)
국가명2007순위2006순위논문 증가율(%)
미 국293,3711293,4101-0.01 영 국79,784277,10823.47 중 국79,674369,684514.34 독 일73,184472,27131.26 일 본70,531571,1914-0.93 프랑스52,142651,60961.03 캐나다45,441744,13672.96 이탈리아41,650839,52685.37 스페인32,378930,78895.16 호 주28,4921027,545103.44 인 도27,4491125,676116.91 한 국25,4941223,297139.43※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7년 우리나라 4$* 논문수 세계 12위. 보도자료(2008.09.11).
○G국내G대학의G대학별G전체G논문수와G세계G순위를G살펴보면SG국내GX위인G서울대가G[SY`X편의G 논문을G발표하여SG세계G순위는G’W]년GZY위에서G_계단G상승한GY[위를G기록함U
○G이에G비해G교수GX인당G논문수는G광주과학기술원Onpz{P이G\UW^편으로G작년에G이어G국내G X위였으며SG다음으로는G포스텍SG서울대SG카이스트SG성균관대G순임U(단위: 편)
4,291
편
4,500 4,000 3,500 3,000 2,500 2,000 1,500 1,000 500 0서울대연세대고려대성균관대한양대
[그림 Ⅳ-9] SCI 분석 결과, 국내 상위 5개 대학의 논문수(2007) ※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7년 우리나라 4$* 논문수 세계 12위. 보도자료(2008.09.11).
TGY_GT
○GZWW편G이상GzjpG논문을G발표한G국내G대학은G총GY_개교로SG이들이G발표한G논문수G X_S__^편은G우리나라G전체G발표G논문수OY[S`ZX편P의G^\U_L를G차지하는G것으로G나타남U
(단위: 편)편30
25
20
262628
15
10
5
0
20032004200520062007
[그림 Ⅳ-10] 최근 5년간 SCI 논문 300편 이상 발표 국내 대학수※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7년 우리나라 4$* 논문수 세계 12위. 보도자료(2008.09.11).
○G울산대는G’W]년G^ZW편이었던G논문수가G’W^년G``Z편으로GZ]UWLG증가하여SG우리나라G대학G 중G전년G대비G증가율이G가장G높은G대학으로G나타났으며SG중앙대SG충북대SG부산대G순으로G높은G 상승폭을G보임U
<표 Ⅳ-11> SCI 분석 결과, 국내 순위 20위 이내 대학의 세계 순위 변화(2007)
대학명논문수세계 순위2007년세계순위변화국내순위서울대4,29124↑ 81
연세대2,19396↑102고려대1,780137↑163성균관대1,768140↑ 64한양대1,293204↓105,*451,211220↓506경북대1,005 267↑ 97울산대993272↑868포스텍978276↑159부산대970281↑4210 전남대873314↑4111 충남대771355↑2712 가톨릭대747365↑3113 경희대703384↑4214 인하대697387↓3815 건국대597437↑4816 이화여대584448017 전북대543471↑1818 경상대500495↑4919 아주대463521↓16.20※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7년 우리나라 4$* 논문수 세계 12위. 보도자료(2008.09.11)
TGY`GT
○G분야별로G보면G다학문G분야가G가장G많이G인용되고G있고SG인문․예술G분야가G가장G적게G인용되고G있음UG
○G한편SG논문GX편당G피인용지수를G보면G생명과학SG임상의학G분야에서G피인용지수가G높게G 나타났으나SG세계G대비G피인용비율을G보면SG공학G및G컴퓨터SG물리․화학․지구과학G분야가G더G 높게G나타남U<표 Ⅳ-12> 분야별 국내 SCI 논문 1편당 피인용지수 및 세계대비 비율(2007)
2003년_2007년
분야명중분야명논문세 계점 유분율야( %)논문수피인용지수피세인계용 평지균수피인세용계 비대율비(%) 공학 컴퓨터 과학5.84 3,435 1.07 1.50 71.33 및공학4.51 16,479 1.53 1.98 77.27 컴퓨터재료과학5.94 10,044 2.94 2.88 102.08 화학2.97 18,021 4.48 4.81 93.14 지구과학1.18 1,532 3.22 3.80 84.74 물지리구u과화학학수학2.04 1,786 1.23 1.44 85.42 물리학4.75 25,594 3.45 3.96 87.12 우주과학1.27 662 6.15 7.80 78.85 생물학/생화학2.25 6,773 5.33 7.68 69.40 면역학1.56 1,000 5.90 10.78 54.73 미생물학2.73 2,545 4.37 7.13 61.29 생명과학분자생물학/유전학1.51 1,767 7.36 11.96 61.54 신경과학/행동과학1.55 2,478 5.23 8.05 64.97 약리학4.20 3,751 3.34 5.40 61.85 임상의학임상의학1.68 16,720 3.72 5.78 64.36 농학2.48 2,534 2.75 2.93 93.86 농환업경u과생학물생태/환경학1.73 2,123 2.65 4.06 65.27 식물과학/동물과학1.47 3,769 3.02 3.21 94.08 다학문 분야1.88 1,256 7.22 6.07 118.95 경제학/경영학1.54 1,017 1.35 2.08 64.90 사회과학사회과학, 일반0.73 1,189 1.37 2.15 63.72 교육학0.58 86 0.55 1.20 45.83 인문u예술법학0.11 11 0.18 2.10 8.57 정신의학/심리학0.51 585 2.47 4.08 60.54※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7년 우리나라 4$* 논문수 세계 12위. 보도자료(2008.09.11).
TGZWGT
인문∙예술
사회과학
다학문분야
농업∙생물∙환경과학
1.07
임상의학
생명과학
물리∙화학∙지구과학
공학및컴퓨터
0.00 1.00 2.00 3.00 4.00 5.00 6.00 7.00 8.00
[그림 Ⅳ-11] 분야별 국내 SCI 논문 1편당 피인용지수 ※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7년 우리나라 4$* 논문수 세계 12위. 보도자료(2008.09.11)를 참고로 재작성
(단위: %)
인문∙예술
사회과학
18.9
다학문분야
농업∙생물∙환경과학
43.4
임상의학
생명과학
물리∙화학∙지구과학
공학및컴퓨터
0.0 20.0 40.0 60.0 80.0 100.0 120.0 %
[그림 Ⅳ-12] 분야별 국내 SCI 논문 1편당 세계대비 피인용비율(2007)
※자료: 교육과학기술부(2008). 2007년 우리나라 4$* 논문수 세계 12위. 보도자료(2008.09.11)를 참고로 재작성TGZXGT
6. 고등교육의 학문적 연구 동향
○G고등교육의G국제적G연구G동향을G보면SG대학생OY]U]LPSG교육과정․수업OYWU`LPSG대학교수OX^UWLP가G전체의G약G][L를G차지하고G있는G것으로G나타남UG
GGTG{heGqournalGofGhigherGlducationSGyesearchGinGoigherGlducationSGyeviewGofG oigherGlducationSGztudiesGinGoigherGlducationSGoigherGlducationG등G\개G학술지에G 수록된GXZX_편을G분석함U(단위: 편)
세계화
사회학적이슈
교육과정ㆍ수업
행정ㆍ지배구조
52
책무성ㆍ질향상
재정ㆍ경제
대학교수
대학생
400 편
0 50 100 150 200 250 300 350 [그림 Ⅳ-13] 고등교육 내용 영역별 논문수(국제학술지)
※자료: 신정철․정지선․김양선․박은경(2008). 고등교육의 학문적 연구 동향 분석: 연구주제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 로. 한국교육. 35(3), Q.178-180을 재구성함.
[그림 Ⅳ-14] 고등교육 내용 영역별 논문수 구성비(국제학술지)
※자료: 신정철․정지선․김양선․박은경(2008). 고등교육의 학문적 연구 동향 분석: 연구주제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 로. 한국교육. 35(3), Q.178-180을 재구성함.TGZYGT
○G고등교육의G국내G연구G동향을G보면SG책무성G및G질G관리OYXU[LPSG대학생OYWUWLPSG재정G및G 경제OX^UWLP가G전체의G약G\_L를G차지하고G있는G것으로G나타남U
GTG고등교육연구SG교육행정학연구SG교육재정경제연구SG교육사회학연구SG교육학연구SG한국교육G등G]개G학술지에G수록된GY`\편을G분석함U(단위: 편)
세계화
사회학적이슈
교육과정ㆍ수업
행정ㆍ지배구조
0
책무성ㆍ질향상
재정ㆍ경제
대학교수
대학생
010203040506070편
[그림 Ⅳ-15] 고등교육 내용 영역별 논문수(국내학술지)
※자료: 신정철․정지선․김양선․박은경(2008). 고등교육의 학문적 연구 동향 분석: 연구주제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 로. 한국교육. 35(3), Q.185를 재구성함.
[그림 Ⅳ-16] 고등교육 내용 영역별 논문수 구성비(국내학술지)
※자료: 신정철․정지선․김양선․박은경(2008). 고등교육의 학문적 연구 동향 분석: 연구주제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 로. 한국교육. 35(3), Q.185를 재구성함.TGZZGT
참고 문헌
교육과학기술부OYWW_PUGYWW^년G우리나라GzjpG논문수G세계GXY위UG보도자료OYWW_UW`UXXPU
vljkOYWW_PUGlducationGatGaGnlanceGvljkGpndicatorsUGvljkGpublishingU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OYWW_PUG국제지표로G본G한국교육UG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개발원U 기획재정부OYWW_PUGYWW_년G~lm의G국가G경쟁력G평가G결과UG보도자료OYWW_UXWUW_PU박인우OYWW^PUG대학G교원G현황G분석UG고려대학교G고등교육정책센터UG박종효․나원희․김송희OYWW_PUGYWW_GptkG교육G경쟁력G분석G보고서UG한국교육개발원U신정철․정지선․김양선․박은경OYWW_PUG고등교육의G학문적G연구G동향G분석aG연구주제에G대한G분석을G중심으로UG한국교육UGZ\OZPSGX]^TX`ZU서울대학교G법인화위원회OYWW`PUG서울대학교G법인화G방안G연구G보고서UG서울대학교G법인화위원회U httpaVVwwwUtopuniversitiesUcomVworlduniversityrankingshttpaVVwwwUworldcompetitivenessUcomVonlinebGhttpaVVedpolicyUkediUreUkrVhttpaVVhdrstatsUundpUorgVYWW_VcountriesVcountry_fact_sheetsVcty_fs_rvyUhtml세계 속의 한국대학
&$$-년 *월 일 인쇄&$$-년 *월 일 발행
발 행 처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 &+$ 서울시 마포구 상암동 %*$% ?;=H %%층 전화 $&) *'-'!)&$$ 인 쇄 처 삼영문화사 전화 $&) &&+(!%',%=G6B -+,!,-!-'-')!$%!% -('+$
=G6B -+,!,-!-'-')!$$!( -('+$ (세트)※ 이 책 내용의 일부 혹은 전체를 허락 없이 변경하거나 복제할 수 없습니다